4일 오전 윤석열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국회는 적막감이 감돌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헌법재판관 8명의 결정을 지켜볼 전망이다. 현재 국회 정문 주변 현장에는 보안과 안전을 이유로 경찰 인력이 배치돼 있다. 민주당 의원들은 이날 헌재의 윤 대통령 판결을 기다리며 당 원내대표 비서실로 속속 모이고 있다. 이날 오전 8시 30분 기준 강유정, 윤종군, 정진욱, 김용민, 박성준, 황유정, 전현희 의원 등이 자리했다. 박 의원은 굳은 표정에 빠른 걸음으로 취재진과 가볍게 인사를 나눈 후 입장했다. 윤 의원 역시 취재진에 최대한 말을 삼가며 들어갔다. 김 의원은 "탄핵 선고 생중계를 기다리고 있다"고 말했다. 탄핵 선고를 약 1시간 앞둔 10시께에는 황명선, 홍성국, 천준호, 이해식, 김현정, 이언주 의원 등도 합류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일인 4일 국회에서 열린 비공개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2025.4.4 김현민 기자 이재명 대표는 이날 오전 9시 40분쯤 국회로 출근해 "위중한 국면이고 국민과 함께 헌법재판소에 진중하고 현명한 판단을 기다려보겠다"고 짧게 답했다. '금일 결과를 어떻게 예상하느냐', '8대 0 만장일치 선고를 예상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는 말을 아꼈다.민주당 지도부는 윤 대통령 탄핵 선고를 앞두고 표정 관리에 들어갔다. 당은 전날 17개 시도당위원장들에게 "차분하고 절제된 분위기 속에서 선고를 지켜봐 달라"며 선고기일 행동 지침을 전달했다. 엄중한 정국 상황을 고려해 입단속에 나선 셈이다. 특히 주요 당직자 및 핵심 당원들의 언행에 신중을 당부했다. 만일 위반할 경우 비상징계 등 엄정 조치를 취하겠다고 경고했다.민주당 내부에선 이날 윤 대통령 탄핵 인용을 확신하는 기류가 뚜렷했다. 김성회 의원은 통화에서 "(탄핵) 기각은 생각하지 않는다. 헌재의 8대 0인용을 예측한다"고 말했다. 이재관 의원 역시 "8대 0 이상의 대안이 있느냐"며 탄핵 인용을 자신했다. 조승래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비공개회의를 마친 후 자연스럽게 (윤 탄핵심판) 생중계를 보게 될 것 같다"며 "선고 이후 입장을 낼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비명(비이재명)계 차기 대권 후보들도 탄핵 선고 결과를 예의 주시하고 있다. 김동연 경기지사 측은 "【베이비뉴스 이유주 기자】저출산·고령화로 3만 명 이하의 지역 수가 2023년 19곳에서 2033년 26곳, 2043년에는 41곳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특히 2043년 생산 가능 연령대의 인구가 1만 5000명에도 미치지 못하는 지역은 63곳에 이르렀다.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이 펴낸 '한국의 인구변동 추이와 특징 : 식품시장 파급효과의 측면' 보고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비수도권 시군구 지역들의 규모별 인구구성은 기본적으로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이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우선 3만 명 이하의 지역 수는 2023년 19곳에서 2033년 26곳, 2043년에는 41곳으로 크게 증가했고, 인구 10만 명 이상의 지역들은 2023년 87개 지역에서 2033년 81개, 2043년 76개로 감소했다.인구규모가 가장 큰 구간인 30만 명 이상 지역 수는 22곳에서 21곳으로 감소 후 22곳으로 유지하는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해당 지역들이 지방에 위치하면서 인근 지역 인구를 흡수해 안정적인 규모를 유지했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지역들로는 전라북도의 전주시, 경상남도의 김해시, 충청남도의 아산시가 있으며, 충청권과 대구, 부산, 광주 등의 광역시에 속한 구들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보고서는 인구 감소를 가속화하는 요인으로 ▲청년층을 중심으로 한 인구 유출과 ▲고령화 진전에 따른 사망 인구 증가 ▲청년 인구 감소에 따른 출생아 수 감소 등이 작용한다고 봤다. 저출산·고령화로 3만 명 이하의 지역 수가 2023년 19곳에서 2033년 26곳, 2043년에는 41곳으로 크게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인구위기, 기존 취약 지역 중심으로 확산지역별 인구변동이 진행되면서 인구 3만 명 이하의 '인구위기 지역들'은 무작위로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위기 지역과 가까운 곳을 중심으로 확산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경제력이 낮거나 경쟁력이 부족한 지역들이 우연히 몰려 있는 것이 아니라 산업 쇠퇴, 교통·교육 환경 등 지역 전체가 연결된 구